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2023년 6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삼성 2위 한화 3위 LG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3년 5월 8일부터 2023년 6월 8일까지의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45,769,894개를 분석하여 대기업집단의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사회공헌, 소비자지수, ESG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하였다. 지난 5월 브랜드 빅데이터 145,345,719개과 비교하면 0.29% 증가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소셜가치, 사회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에서는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 소비자지수, ESG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하였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분석한 67개 대기업집단 브랜드평가에는 사회공헌지표와 소비자지표, ESG지표를 중심으로 정성적인 평가를 강화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오너 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3년 6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삼성, 한화, LG, 현대자동차, 농협, 롯데, SK, CJ, 신세계, GS, 쿠팡, 네이버, 카카오, 포스코, KT, 두산, 미래에셋, 현대백화점, 한진, DB, 대림, 동원, 코오롱, 효성, KT & G, 현대중공업, 대우건설, 넥슨, 이랜드, LS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삼성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5,735,124 소통지수 3,241,886 커뮤니티지수 5,568,162 사회공헌지수 1,854,070 소비자지수 2,669,620 ESG지수 215,09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9,283,953으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5,230,932와 비교해보면 26.61% 상승했다.
2위, 한화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5,525,459 소통지수 2,338,397 커뮤니티지수 3,405,763 사회공헌지수 722,451 소비자지수 336,556 ESG지수 102,96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431,587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7,174,181과 비교해보면 73.28% 상승했다.
3위, LG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3,133,256 소통지수 3,090,676 커뮤니티지수 246,828 사회공헌지수 1,809,643 소비자지수 1,558,338 ESG지수 140,95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979,694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3,188,121과 비교해보면 24.33% 하락했다.
4위, 현대자동차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609,592 소통지수 534,503 커뮤니티지수 3,396,194 사회공헌지수 1,640,840 소비자지수 2,032,088 ESG지수 120,691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333,907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9,801,753과 비교해보면 4.77% 하락했다.
5위, 농협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1,281,479 소통지수 1,307,851 커뮤니티지수 1,616,958 사회공헌지수 1,456,272 소비자지수 1,537,173 ESG지수 257,24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456,981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7,003,396과 비교해보면 6.48%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대기업 집단 브랜드평판 2023년 6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삼성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대기업 집단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5월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45,345,719개와 비교하면 0.29%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이슈 28.76% 상승, 브랜드소통 0.24% 하락, 브랜드확산 8.29% 하락, 브랜드공헌 7.25% 하락, 브랜드소비 13.00% 하락, ESG지수 40.61%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는 브랜드평판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브랜드 빅데이터를 소비자행동으로 세분화하여 브랜드 평판지수를 파악했다. 이번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66개 대기업집단에 대해서 2023년 5월 8일부터 2023년 6월 8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2023년 6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을 분석한 대기업집단 브랜드는 삼성, 한화, LG, 현대자동차, 농협, 롯데, SK, CJ, 신세계, GS, 쿠팡, 네이버, 카카오, 포스코, KT, 두산, 미래에셋, 현대백화점, 한진, DB, 대림, 동원, 코오롱, 효성, KT & G, 현대중공업, 대우건설, 넥슨, 이랜드, LS, 한라, 아모레퍼시픽, KCC, 하이트진로, 현대산업개발, 한국타이어,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투자금융, 애경, 영풍, 한솔, 셀트리온, 메리츠금융, 넷마블, 한국 GM, 현대해상화재보험, 하림, 교보생명보험, 태광, 세아, 태영, SM, 삼천리, 부영, 호반건설, 동국제강, 한진중공업, OCI, 유진, 에쓰 오일, 금호석유화학, 중흥건설, 대방건설, 다우키움, 반도홀딩스, 엠디엠 이다.
축하 게시판 규칙
회원 가입을 하시면 하루에 3개의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팸성, 홍보, 명예훼손이 될 수 있는 글은 삭제됩니다.
악의적인 비방을 반복적으로 작성한 경우 회원 탈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