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KT&G 2위 LG생활건강 3위 청담글로벌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34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하였다. 2023년 1월 24일부터 2023년 2월 24일까지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7,520,886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하였다. 지난 1월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9,488,435개와 비교하면 4.98%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이다.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끼리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점유율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하였다.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2월 빅데이터 분석 순위는 KT&G, LG생활건강, 청담글로벌, 헬릭스미스, HK이노엔, 메디포스트, 휴온스, 대원제약, 엔케이맥스, 경남제약, 프롬바이오, 콜마비앤에이치, 아이진, 비엘, 뉴트리, 아미코젠, 서흥, 종근당바이오, 내츄럴엔도텍, 대상홀딩스, 시너지이노베이션, 에스디생명공학, 네오팜, 노바렉스, 쎌바이오텍, 종근당홀딩스, 휴럼, 에이치피오, 프로스테믹스, 코스맥스엔비티, 에이치엘사이언스, 에스앤디, 비엘팜텍, 팜스빌 순이었다.
1위, KT&G 브랜드는 참여지수 692,289 미디어지수 1,175,034 소통지수 1,220,111 커뮤니티지수 704,567 시장지수 2,481,426 사회공헌지수 721,25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994,679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6,947,448과 비교해보면 0.68% 상승했다.
2위, LG생활건강 브랜드는 참여지수 646,456 미디어지수 1,005,926 소통지수 980,129 커뮤니티지수 831,450 시장지수 2,216,327 사회공헌지수 537,58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217,877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6,638,198과 비교해보면 6.33% 하락했다.
3위, 청담글로벌 브랜드는 참여지수 591,894 미디어지수 419,075 소통지수 663,874 커뮤니티지수 681,300 시장지수 52,053 사회공헌지수 106,9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515,168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2,343,220과 비교해보면 7.34% 상승했다.
4위, 헬릭스미스 브랜드는 참여지수 781,772 미디어지수 454,682 소통지수 756,525 커뮤니티지수 283,317 시장지수 92,043 사회공헌지수 62,75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431,092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2,163,297과 비교해보면 12.38% 상승했다.
5위, HK이노엔 브랜드는 참여지수 572,252 미디어지수 315,227 소통지수 533,982 커뮤니티지수 281,348 시장지수 230,170 사회공헌지수 42,23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975,208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1,553,862와 비교해보면 27.12%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23년 2월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결과, KT&G ( 대표 백복인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KT&G 브랜드는 BIO 사업 및 Health & Beauty 사업 등을 통해 국내 제약 기술을 선도하고, 국민 건강과 아름다움에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글로벌 사업을 확장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라고 브랜드 분석했다.
이어 "2023년 2월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 카테고리 빅데이터 분석을 해보니 지난 1월 건강기능식품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39,488,435개와 비교하면 4.98%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2.29% 하락, 브랜드이슈 1.07% 하락, 브랜드소통 2.01% 상승, 브랜드확산 25.58% 하락, 브랜드시장 5.10% 하락, 브랜드공헌 44.38%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 http://www.brikorea.com 소장 구창환 ) 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2023년 2월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평판지수는 2022년 1월 24일부터 2023년 2월 24일까지의 34개 건강기능식품 관련 상장기업 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축하 게시판 규칙
회원 가입을 하시면 하루에 3개의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팸성, 홍보, 명예훼손이 될 수 있는 글은 삭제됩니다.
악의적인 비방을 반복적으로 작성한 경우 회원 탈퇴 됩니다.